8. 의사결정 모형과 의사결정 과정의 오류
1) 의사결정 모형 (Decision-Making Models)
① 쓰레기통 모형 (Garbage Can Model)
- 조직이 무정부 상태처럼 불확실한 상황에서 비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모형이다.
- 조직화된 무질서 상태에서 문제, 대안, 의사결정 권한, 시기가 우연히 만나면서 결정이 이루어진다.
- 특징:
- 위계적인 조직보다 권위가 약한 조직구조에서 발생하기 쉽다.
- 문제 해결과 관련 없는 대안이 우연히 선택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 예시: 스타트업에서 의사결정 권한이 분명하지 않고 다양한 아이디어가 무질서하게 제시되는 상황.
② 카네기 모형 (Carnegie Model)
- 카네기 멜론 대학의 사이어트, 마치, 사이먼이 제시한 모형이다.
- 경영자는 최적해보다는 **만족할 만한 해결책(만족해, Satisficing)**을 찾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 문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합의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치적·사회적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 특징:
- 불확실성과 갈등 속에서 의사결정을 진행한다.
-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연합을 형성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 예시: 부서 간 협의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예산을 배정하는 과정.
③ 민츠버그의 점진적 의사결정 모형 (Mintzberg's Incremental Decision-Making Model)
- 의사결정을 일련의 작은 결정들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과정으로 본다.
- 문제 해결보다는 문제 해결 방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초점을 둔다.
- 특징:
- 문제확인 → 대안개발 → 대안 선택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필요 시 이전 단계로 돌아가 다시 결정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
- 기존 방법에서 해결책을 찾거나,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 예시: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신제품 개발 과정.
2) 의사결정 과정의 오류 (Decision-Making Biases)
① 몰입의 상승현상 (Escalation of Commitment)
- 잘못된 의사결정을 계속 유지하려는 경향.
- 예시: 이미 많은 돈과 시간을 투자한 프로젝트를 실패가 명확한 상황에서도 중단하지 못하는 경우.
② 고착과 조정 오류 (Anchoring and Adjustment Bias)
- 초기 정보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이후의 정보들을 객관적으로 고려하지 않는 경향.
- 예시: 첫 협상 가격이 이후 협상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
③ 유용성 오류 (Availability Bias)
-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들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의사결정하는 경향.
- 예시: 최근 뉴스에서 본 사건이 흔한 일이라고 잘못 판단하는 경우.
④ 대표성 오류 (Representative Bias)
- 과거의 대표적인 사건이 비슷한 상황에서도 같은 결과를 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
- 예시: 특정 투자 전략이 과거에 성공했으므로, 앞으로도 성공할 것이라고 착각하는 경우.
⑤ 승자의 재앙 (Winner's Curse)
- 경매에서 승자가 지나치게 높은 가격을 제시하여 손해를 보는 현상.
- 예시: 경쟁적으로 높은 입찰을 하다가 실제 가치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경우.
⑥ 맹목성 오류 (Hindsight Bias)
- 결과를 알고 나서 그 결과를 쉽게 예측할 수 있었다고 잘못 믿는 경향.
- 예시: 주식 시장 하락 후에 "그럴 줄 알았어"라고 말하는 경우.
3) 의사결정의 구분 (Types of Decision-Making)
① 정형적 의사결정 (Programmed Decision-Making)
-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 절차나 규칙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어 경영자의 재량권이 작다.
- 예시: 사원들의 근무시간 관리, 일반적인 업무 절차.
② 비정형적 의사결정 (Non-Programmed Decision-Making)
- 전례 없고 새로운 문제를 다루는 의사결정.
- 특성과 구조가 명확하지 않고 복잡하여 창의성과 판단력이 중요하다.
- 관련된 사람들의 협조와 아이디어가 필요하여 집단 의사결정이 효과적이다.
- 예시: 신제품 개발, 위기 상황 대처.
'조직행동(개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동기부여 이론의 이해: 맥클리랜드와 맥그리거의 접근법 & 기대이론과 공정성이론 (0) | 2023.09.11 |
---|---|
8. 동기부여 이론의 이해: 내용이론의 다양한 관점 (0) | 2023.09.08 |
6. 지각오류와 의사결정: 우리가 실수를 하는 이유와 해결 방법 (0) | 2023.09.07 |
5. 가치관과 지각: 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오류들 (0) | 2023.09.07 |
4. 조직에서의 성격 유형과 성과의 관계: MBTI, Big Five, 그리고 자아개념 (0) | 2023.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