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영이론: 지식경영과 구조조정의 혁신
1) 지식경영 Knowledge Management
노나카 교수의 이론에 따르면, 치열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고 조직 내에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 이론에서는 지식을 암묵지와 형식지로 구분하며, 이 둘의 결합과 상호전환을 통해 지식이 발전한다고 주장한다.
- 암묵지: 경험과 학습을 통해 몸에 쌓이는 지식으로, 언어나 문서로 표현할 수 없는 형태의 지식이다.
- 형식지 (명시지): 암묵지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지식으로, 문서, 데이터, 이론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지식 창조의 반복적 순환 과정:
- 이식화 (Socialization): 암묵지 → 암묵지 (예: 숙련된 장인이 견습생에게 기술을 전수하는 과정)
- 분절화 (Articulation, Externalization): 암묵지 → 형식지 (예: 장인의 기술을 매뉴얼로 문서화하는 과정)
- 연결화 (Combination): 형식지 → 형식지 (예: 다양한 매뉴얼을 조합해 새로운 지식체계를 구축하는 과정)
- 내재화 (Internalization): 형식지 → 암묵지 (예: 매뉴얼을 학습하여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
이처럼 지식경영은 지식의 순환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야 하는 중요한 경영 방법이다.
2) 구조조정 (Restructuring)
구조조정은 기업의 미래 비전을 구체화하기 위해 기존의 업무 방식과 조직을 혁신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방식으로 리엔지니어링, 벤치마킹, 아웃소싱이 있다.
- 리엔지니어링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기존의 업무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고려하여 전체 시스템을 대폭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업무, 조직, 기업문화 등 모든 부분에 적용할 수 있다.
예시: IBM이 1990년대에 경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제품 중심에서 고객 중심으로 업무 프로세스를 완전히 재설계한 사례. - 벤치마킹 (Benchmarking):
최고 수준에 있는 다른 조직의 제품, 업무 방식, 서비스 등을 비교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고 이를 적용하는 방법이다.
예시: 삼성전자가 애플의 고객 중심 서비스 전략을 참고하여 고객 만족도를 개선한 사례. - 아웃소싱 (Outsourcing):
중요성이 낮은 업무를 외부에 위탁하여 비용 절감과 유연성 확보를 도모하는 방법이다. 다만, 장기적으로 핵심 기술을 상실하거나 외부 업체에 의존할 위험이 있다.
예시: 글로벌 IT 기업들이 고객 지원 서비스나 데이터 관리 업무를 외부 업체에 위탁하는 경우.
슘페터의 혁신
경제학자 슘페터는 혁신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새로운 물건, 새로운 품질
- 새로운 생산 방법
- 새로운 조직
- 새로운 판매처
- 새로운 구입처
슘페터는 혁신이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필수 요소라고 주장했다.
'경영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조직행동 : 집단과 조직 (0) | 2023.09.13 |
---|---|
10. 목표관리와 균형성과표: 현대 경영의 성과 측정 방법 (0) | 2023.08.29 |
8. 경영학 이론의 발전: 인간관계론부터 자원기반관점까지 (0) | 2023.08.28 |
7. 기업윤리와 경영학 이론의 발전: 고전적 접근법부터 관료제까지 (0) | 2023.08.28 |
6.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경영 (0) | 202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