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경영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단순히 이윤을 추구하는 것을 넘어,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ISO 26000은 이러한 사회적 책임의 국제적인 판단 기준으로 활용되지만, 강제성을 가지진 않는다.


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요구되는 이유

  • 외부불경제: 기업 활동이 환경오염이나 사회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책임이 요구된다.
  • 기업의 영향력 증대: 글로벌 기업들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책임의 범위도 넓어진다.
  • 시장의 불완전성 증가: 시장 실패나 정보 비대칭 문제로 인해 기업의 책임 있는 행동이 필요하다.
  • 높은 상호작용: 기업과 사회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도 커진다.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1. 전통적인 관점 (Classical View)
  • 대표 학자: 밀턴 프리드만
  • 핵심 주장: 기업의 주된 목표는 이윤 극대화이며, 이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고 본다.
  • 예시: 주주 이익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회사가 비용 절감을 위해 필수적인 환경보호 조치를 무시하는 경우.
  1. 사회경제적 관점 (Socioeconomic View)
  • 대표 학자: 새뮤엘슨
  • 핵심 주장: 기업은 사회와 독립된 존재가 아니므로, 사회복지와 환경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예시: 다국적 기업이 현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의료 지원을 제공하는 경우.

3. 사회책임투자 (SRI,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을 투자 대상으로 삼는 것을 의미한다.

  • 투자 대상 선정 시, 경제적 수익성뿐 아니라 사회적·환경적 영향을 고려한다.
  • 예시: 친환경 에너지 기업에 투자하거나, 노동 착취가 없는 공정무역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경우.

4. 지속가능경영 (Sustainable Management)

경제적 수익성, 환경적 건전성, 사회적 책임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경영 패러다임이다.

  • 예시: 유니클로는 리사이클링 프로그램을 통해 폐기물을 줄이고 환경 보호를 실천하는 지속가능경영을 실행하고 있다.

5. 캐럴의 피라미드 모형

캐럴은 기업의 책임을 4단계로 구분한다.

  1. 경제적 책임: 이익 창출, 고용 창출 (예: 회사의 수익 증대 및 고용 기회 제공)
  2. 법적 책임: 법규 준수, 성실한 세금 납부 (예: 투명한 회계와 소비자 권익 보호)
  3. 윤리적 책임: 사회의 기대와 요구를 충족 (예: 환경 보호, 공정 거래, 소수자 권익 보호)
  4. 자선적 책임: 기부 및 봉사활동 (예: 재난 피해 구호 기금 기부)

6.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의 적응 전략

  1. 방해전략: 사회적 책임을 무시하고 이윤만 추구 (예: 환경 오염 사실을 숨기는 기업)
  2. 방어전략: 법적인 요구사항만 최소한으로 충족 (예: 규제된 수준의 오염물 배출)
  3. 적응전략: 도의적 책임을 인정하나 압력에 따라 실천 (예: 사회적 비난을 받으면 개선하는 경우)
  4. 행동전략: 자발적이고 선제적으로 책임을 이행 (예: 지속가능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

7. CSR과 CSV의 차이

  •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사회적 책임 활동을 기업 평판과 연결하는 방식. (예: 기부, 봉사활동)
  • CSV (Creating Shared Value):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며 동시에 경제적 수익을 얻는 방식. (예: 다국적 식품기업이 현지 농민들과 협력하여 품질 좋은 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농민들에게는 경제적 기회를 제공)

 예시로 살펴본 CSR과 CSV의 적용 사례

  • CSR 예시: 환경오염 문제로 비판을 받은 기업이 나무 심기 프로젝트를 통해 이미지 개선을 도모한다.
  • CSV 예시: 넷플릭스는 현지 영화 제작사와 협력하여 로컬 콘텐츠를 제작하며, 시장 확대와 동시에 현지 문화 발전을 도모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