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집단행동의 기초

1) 집단의 유형

 -1. 공식집단(기능집단, 명령집단) formal group : 조직 목표를 위한 과업 수행을 위해 형성한 집단

 -2. 비공식집단 informal group : 흥미, 우정 등으로 만들어진 집단으로 상호작용 및 상호 공통적 흥미 등으로 인해 형성된 집단

 -3. 소속집단 membership group : 종교집단, 정치, 가족과 같이 실제로 소속된 집단

 -4. 준거집단 reference group : 의사결정이나 판단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기준으로 삼는 집단. 또는 소속되고자 희망하는 집단.

 

2) 집단발달 단계 (터크맨)

사전단계 1단계(형성기 forming) 2단계(격동기 storming) 3단계(규범화 norming) : 집단사고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기 4단계(성과달성기 performing) 5단계(해체기 adjourning)

 

3) 집단의 속성

 -1. 역할 role : 특정 지위를 가진 사람에게 요구되는 일련의 행위

역할지각 role perception : 어떤 행동은 어떤 상황에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각

역할기대 role expectation : 다른 사람이 그 역할을 가진 사람에게 특정 상황에 어떤 행동하는지 기대하는 것

역할갈등 role conflict : 역할기대가 서로 상치되는 것에서 발생하는 갈등

 

- 2. 규범 norm

-동조 conformity : 집단이 구성원들에게 집단 규범에 동조하도록 압력을 행사하는 것

-애시효과 : 다수가 공유하는 틀린 생각으로 개인의 옳은 생각이 영향을 받게 되는 것

 

-3. 지위 status : 타인에 의해 집단이나 구성원에게 주어진 계급 도는 사회적으로 정의된 직위

 

-4. 규모 size : 집단이 커질수록 만족도는 어느 정도까지는 높아지지만 참여도는 줄어든다.

- 사회적 태만 social loafing : 개인적으로 일할 때보다 집단으로 일할 때 노력을 하지 않는 개인 성향

- 사회적 태만 극복 방안

1) 개인별 성과평가 도입

2) 집단의 크기를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게 목표에 맞춰 최적화

3) 의사결정 권한을 집단구성원 자율에 맡김

4) 직무기술서를 필수화 하여 자신의 업무를 명확히 구분

5) 업무는 개인별로 할당

 

-5. 응집성

 서로에게 매력을 느끼고 계속 집단에 머무르고자 하는 정도

- 응집성 증가요소 : 집단의 규모 축소, 집단을 격리, 집단별 보상, 다른 집단과 경쟁, 집단 구성원이 되기 위한 자격을 어렵게 함, 구성원들이 함께하는 시간 증가, 집단 목표에 대한 동의

- 응집성 감소요소 : 불만족스러운 경험, 집단 내 경쟁 심화, 목표에 대한 불일치, 집단크기의 증가

 

 * 집단과 조직의 목표 일치정도가 낮을 때는 집단응집성이 낮은 쪽보다 높은 쪽이 성과가 더 높다.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집단의 힘이 쏟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