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집단의사결정

1) 집단의사결정의 장단점

- 장점 : 의사소통문제 감소, 구성원들이 결정에 대해 수용하기 쉽다, 더 많은 지식과 정보 공유 가능,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 단점 : 신속하고 결단력 있는 행동 방해, 의견불일치와 갈등, 시간의 소비, 동조압력, 특정 구성원에 의한 의견 지배 가능성, 집단사고 및 집단이동적 사고 발생

 

*효율성과 효과성 : 개인의 의사결정보다 집단의사결정이 효과성은 높지만 시간이 오래 걸려 시간 효율성은 낮다.

 

2) 집단의사결정의 문제점

-1. 집단사고 groupthink

 응집성이 높고 절차가 비민주적인 집단에서 자주 발생하며, 구성원들 간의 합의에 대한 요구가 지나쳐 다른 대안의 모색을 저해하는 것이다.

* 극복방안

- 자유로운 비판이 가능한 분위기를 리더가 조성한다.

- 외부 전문가를 초빙해 구성원들의 견해를 비판하게 한다.

- 지명 반론자 devil`s advocates를 두어 안이한 의사결정을 방지한다.

 

-2. 집단이동적 사고 groupshift

 집단토의 전, 후의 의견이 한쪽으로 편향되는 것으로 토의 전에는 극단적인 의견이 아니었지만 토의 후에는 양극단으로 쏠리는 현상이다.

- 원인 : 집단으로 여러 개인이 모이면 책임이 분산되기 때문

 

-3. 효과적 집단의사결정 기법

-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 한 가지 문제를 놓고 여러 명이 아이디어를 개진하여 최선책을 찾는 방법

* 규칙

1) 표현권장 expressiveness

2) 평가지연 postpone evaluation

3) 아이디어 확장 piggyback idea

4) 아이디어의 질보다는 양 quality

 

- 명목집단법 NGT norminal group technique : 참석자들은 서로 의사소통 없이 서면으로 의사를 개진하여 의사소통 하는

* 방법.

1) 문제 제시, 대화 차단

2) 각 참가자들은 해결안을 기록

3) 돌아가며 해결안을 설명하고 사회자는 내용을 정리

4) 참가자들이 발표내용에 보충 설명

5) 의견들의 우선순위를 묻는 비밀투표를 통해 최종 해결한 선택

 

- 지명 반론자 법 devil`s advocate method : 집단을 둘로 나누어 한 집단이 제시한 의견에 반론자 집단의 반론을 듣고 토의를 진행함. 의견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최종 대안을 도출

- 델파이법 delphi method : 전문가들에게 의견을 받고 반복수정하여 의사결정을 내림

- 전자회의 electronic meeting : NGT와 컴퓨터 기술의 결합

 

-4. 쓰레기통 모형(마이클 코헨, 제임스 마치, 요한 올슨이 제시)

대표적인 기술적 모형으로 극도의 불확실성에 처한 상황에서 문제, 해결대안, 대안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 결정이 필요한 시기 등이 뒤섞여 우연히 만나 의사결정이 이뤄지고 문제가 해결된다는 모형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