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가치관과 지각: 사람들은 왜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는가?
1) 가치관 (Values)
가치관은 무엇이 옳고 그른지, 바람직한지에 대해 판단하는 개인적인 신념이다. 구체적인 행동 양식이나 존재 양식이 더 낫다고 믿는 사회적, 개인적 확신을 의미한다.
- 가치관은 태도보다 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며,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사람들의 지각, 태도,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친다.
예시:
한 기업이 새로 도입한 친환경 정책에 대해 직원들마다 다른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개인의 가치관 차이 때문이다. 환경보호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원은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만, 실용성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직원은 부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2) 올포트의 가치관 분류
올포트(Allport)는 사람들이 가지는 가치관을 여섯 가지로 분류했다.
- 정치적 가치: 권력과 영향력을 강조
- 경제적 가치: 실용성과 효율성을 중시
- 이론적 가치: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접근을 통해 진리를 추구
- 사회적 가치: 이타적이고 박애적인 행동을 중요시
- 심미적 가치: 아름다움과 조화를 중시
- 종교적 가치: 현실과 내세의 통합을 중시
3) 국가 간 문화분류 차원 (호프스테드의 문화 차원 이론)
-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개인의 독립성을 중시하는 문화 vs. 집단의 목표와 조화를 중시하는 문화
- 남성문화와 여성문화: 성 역할의 구분이 명확한 문화 vs. 역할의 유연성을 중시하는 문화
- 장기성향과 단기성향: 장기적 목표와 인내를 중시 vs. 즉각적인 성과를 중요하게 여김
- 권력 격차: 권력이 불평등하게 분배된 상황에 대한 수용 정도
- 불확실성 회피 성향: 예측 불가능한 상황을 얼마나 회피하려 하는지
예시:
다국적 기업에서의 의사소통 방식이 국가별로 다른 이유는, 권력 격차와 불확실성 회피 성향에 따라 조직 문화가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4) 고배경 문화와 저배경 문화 (홀의 분류)
- 고배경 문화: 간접적이고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중요하게 여김. (예: 일본, 중국)
- 저배경 문화: 직접적이고 명확한 의사소통을 선호함. (예: 미국, 독일)
예시:
해외 파트너와의 협상에서 의사소통 방식이 잘 맞지 않는 이유는, 서로 다른 배경 문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7. 지각 (Perception)
지각은 감각적인 인상을 조직하고 해석하여 환경에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1) 지각의 정보처리 과정 (게슈탈트 이론)
- 선택: 개인이 주의를 기울이는 정보는 제한적이다.
- 조직화: 선택된 정보를 구조화하여 의미 있는 형태로 만드는 과정.
- 해석: 조직화된 정보를 이해하고 의미를 부여한다.
2)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지각주체 관련 요소: 태도, 흥미, 동기, 기대, 경험 등.
- 지각대상 관련 요소: 참신성, 동작, 배경, 근접성, 소리, 유사성 등.
- 상황요소: 사회적 여건, 직무 환경, 시간 등.
3) 귀인이론 (Attribution Theory)
사람들이 타인의 행동을 어떻게 해석하고 원인을 부여하는지 설명하는 이론.
- 합의성 (Consensus): 다른 사람들도 비슷하게 행동하는가? (높으면 외부 요인)
- 특이성 (Distinctiveness): 상황에 따라 다르게 행동하는가? (높으면 외부 요인)
- 일관성 (Consistency): 시간이 지나도 동일한 행동을 하는가? (높으면 내부 요인)
예시:
한 직원이 회의에서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이유를 찾는다면,
- 다른 사람들도 비슷하다면(합의성 높음) → 외부요인 가능성
- 특정 상황에서만 그렇다면(특이성 높음) → 외부요인 가능성
- 언제나 그렇다면(일관성 높음) → 내부요인 가능성
4) 귀인오류 (Attribution Errors)
- 근원적 귀인오류: 타인을 평가할 때 외부 요인을 무시하고 내부 요인만 강조하는 오류.
- 행위자-관찰자 효과: 자신은 외부 요인으로 판단하지만 타인은 내부 요인으로 판단하는 오류.
- 자존적 편견: 성공은 내부 요인, 실패는 외부 요인으로 해석하는 오류.
'조직행동(개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의사결정 모형과 오류: 합리성을 방해하는 심리적 함정들 (0) | 2023.09.08 |
---|---|
6. 지각오류와 의사결정: 우리가 실수를 하는 이유와 해결 방법 (0) | 2023.09.07 |
4. 조직에서의 성격 유형과 성과의 관계: MBTI, Big Five, 그리고 자아개념 (0) | 2023.09.05 |
3. 조직시민행동과 감정지능: 조직 내 긍정적 행동과 감정 관리 (0) | 2023.08.31 |
2. 태도 이론과 직무만족: 조직 몰입과 태도의 구성 요소 (0) | 2023.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