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동기부여 이론 – 과정이론 (Process Theories of Motivation)


1) 기대이론 (Expectancy Theory - Vroom)


① 이론 개요

  • 개인이 특정 행동을 선택하는 것은 그 행동이 결과를 가져올 확률과 그 결과의 매력도에 따라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 주로 보상체계와 성과관리 시스템에 적용된다.

② 기대이론의 3가지 구성 요소

구성 요소설명범위
기대감 (Expectancy) 노력하면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가? 0 ≤ E ≤ 1
수단성 (Instrumentality) 성과가 보상으로 이어질 확률은? -1 ≤ I ≤ 1
유의성 (Valence) 보상이 개인에게 얼마나 중요한가? -n ≤ V ≤ n

③ 동기부여의 강도 측정 (Motivational Force Calculation)

  • 공식: 동기부여 = E × I × V
  • 기대감, 수단성, 유의성이 모두 높을 때 동기부여가 극대화된다.

④ 조직 경영에의 적용

구성 요소적용 방법예시
기대감 (Expectancy) 훈련, 교육을 통한 능력 개발 신입 사원 교육 프로그램 도입
수단성 (Instrumentality) 성과와 보상의 명확한 연결 성과급 임금제 도입
유의성 (Valence) 보상이 개인의 가치를 반영 선택적 복리후생 제도 (카페테리아식 복리후생)


2) Porter-Lawler의 동기 모델 (Porter-Lawler Model) - 기대이론의 확장


① 이론 개요

  • 기대이론을 동적 모델로 확장하여 노력 → 성과 → 만족의 과정을 설명한다.
  • 성과와 만족의 관계를 더 깊게 분석하였다.

② 과정 구성

과정조절 변수설명
노력 → 성과 능력, 특성, 역할 지각 개인의 능력과 역할 지각이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성과 → 만족 공정성에 대한 지각 성과가 적절하게 보상되는 것이 중요하다.


3) 공정성이론 (Equity Theory - Adams)


① 이론 개요

  • 사람들은 자신이 투자한 노력(투입)과 얻은 결과(산출)를 타인과 비교하여 공정성을 판단한다.
  • 이 이론은 **인지부조화 이론 (Festinger)**과 **분배적 정의 (Homans)**를 기반으로 한다.

② 주요 개념

개념설명
투입 (Input) 개인이 투자한 모든 노력, 시간, 능력 등
산출 (Output) 개인이 얻은 보상, 성과, 인정 등
공정성 판단 나의 투입/산출 비율과 타인의 투입/산출 비율 비교를 통해 판단
부정적 불공정성 자신의 비율이 타인보다 낮을 때 발생, 불만족 초래
긍정적 불공정성 자신의 비율이 타인보다 높을 때 발생, 죄책감 초래

③ 공정성 이론의 적용 예시

  • 성과 평가, 임금 배분, 승진 결정 등에서 직원 간의 공정성 인식이 중요하다.
  • 불공정성이 발생하면 동기부여가 낮아지거나 조직을 떠나려는 경향이 발생할 수 있다.

+ Recent posts